『숫자 한국: 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
숫자에 속지 않고, 숫자를 읽다『숫자 한국: 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 박한슬 지음 (사이언스북스, 2025)“숫자는 양날의 검처럼 다루기가 까다롭다. 맥락과 두께를 알지 못하면 순진하게 속거나, 허구에 휘둘리기 쉽다.”— 『숫자 한국』 중에서우리는 매일 뉴스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일상 대화 속에서 수많은 숫자를 마주합니다.출산율, 경제 성장률, 실업률, 미세먼지 농도, AI 일자리 변화율 등—이 숫자들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창입니다.그렇다면 이 숫자들, 우리는 ‘제대로’ 읽고 있을까요?오늘 소개할 책은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박한슬 작가의 『숫자 한국』은 “숫자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한 데이터 읽기 안내서입니다. 단순한 통계 해설서가 아..
2025. 6. 20.
『공자가 AI 시대를 산다면』
📘『공자가 AI 시대를 산다면』은 인공지능이 일상 깊숙이 들어온 오늘날, 2500년 전 공자의 가르침을 통해 인간다움의 본질을 되새기게 하는 책입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한 김준태 저자는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논어』를 강의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네 가지 덕목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다움에 대해 성찰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1부: 사람 – AI 시대, 더더욱 사람이 먼저다공자는 인간다움을 태도의 문제로 보았습니다. AI가 아무리 발전해도 인간만이 지닌 공감, 다정함, 도전정신은 대체할 수 없습니다. 공자는 "사람은 안 되는 줄 알면서도 도전하는 존재"라고 말하며, 인간의 고유한 가치를 강조합니다.2부: 올바름 – AI 시대, 사람다움을 지키는..
2025.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