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국: 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
숫자에 속지 않고, 숫자를 읽다『숫자 한국: 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 박한슬 지음 (사이언스북스, 2025)“숫자는 양날의 검처럼 다루기가 까다롭다. 맥락과 두께를 알지 못하면 순진하게 속거나, 허구에 휘둘리기 쉽다.”— 『숫자 한국』 중에서우리는 매일 뉴스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일상 대화 속에서 수많은 숫자를 마주합니다.출산율, 경제 성장률, 실업률, 미세먼지 농도, AI 일자리 변화율 등—이 숫자들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창입니다.그렇다면 이 숫자들, 우리는 ‘제대로’ 읽고 있을까요?오늘 소개할 책은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박한슬 작가의 『숫자 한국』은 “숫자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위한 데이터 읽기 안내서입니다. 단순한 통계 해설서가 아..
2025. 6. 20.
『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이주민, 차별, 인종주의』
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 우리가 마주한 불편한 진실『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이주민, 차별, 인종주의』 손인서 지음 (돌베개, 2024)“우리는 스스로가 이 부당한 구조의 수혜자였다는 불편한 진실을 마주해야 한다. 치열하고 단호하게.”— 김승섭 교수 추천사요즘 ‘저출생’, ‘인력난’, ‘돌봄 공백’, ‘가사노동자 수입’ 같은 기사 많이 보셨을 거예요.그 뒤에 자연스럽게 따라붙는 말도 익숙합니다.“이주민을 도입하자.”그런데, 이주민이 한국 사회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요?또는, 우리 사회는 이주민을 동등한 시민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오늘 소개할 책은 바로 이런 질문에서 출발합니다.『다민족 사회 대한민국』 — 우리가 익숙하게 쓰는 ‘다문화 사회’ 담론이 얼마나 허구적인지,그 구조가 어떻게 차..
2025. 6. 19.